웹 보안

소프트웨어 특성

  • 기능 요건(functional requirement)

    • 시스템 사용의 주목적이 되는 기능

    •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킴

    • 구체적으로 이미지화 하기 쉬움

  • 비기능 요건(non functional requirement)

    • 시스템 사용의 주목적은 아님

    • 사용자의 요구를 직접적으로 만족시키는 것은 아님

    • 직접적이지 않아 이미지화 하기 어려움

보안은 비기능 요건 중의 하나이다.

취약성(vulnerability)

부정한 방법으로 접근하거나 정보를 훔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보안상의 버그

소프트 웨어 설계가 불충분하거나 기술적인 실수로인해 발생함

보안 지침

일본의 정보처리추진기구(IAP)가 제보건수가 많고 영향이 큰 취약성은 다음과 같다.

  • SQL 인젝션

  • OS 커맨드 인젝션

  • path 파라미터 미체크 / 디렉터리 트래버설(directory traversal)

  • 취약한 세션 관리

  • XSS(cross site scripting)

  • CSRF(corss site request forgery)

  • HTTP 헤더 인젝션

  • 메일 헤더 인젝션

  • 클릭재킹(clickjacking)

  • 버퍼 오버플로(buffer overflow)

  • 접근 제어, 권한 제어 누락

순위
리스크
내용

A01

취약한 접근 통제

다른 사용자의 데이터와 권한 변경

A02

암호화 실패

민감한 데이터 유출과 시스템 침해 관련 암호화 기술 관련 실패

A03

인젝션

XSS, SQL 인젝션 등

A04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설계

설계 결함 관련 리스크

A05

보안 설정 실수

안전하지 않은 설정을 통해 발생하는 문제. 애플리케이션의 90%에서 설정 실수의 문제가 발생된다.

A06

취약하고 오래된 컴포넌트

취약점이 있는 라이브러리를 통한 공격과 악역향

A07

실별과 인증의 실패

사용자 식별 정보 유출

A08

소프트웨어 데이터 무결성 문제

CI/CD 파이프라인의 무결성을 검증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와 중요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문제

A09

보안 관련 로그와 모니터링 실패

모니터링 부족으로 인한 공격 감지 실패

A10

SSRF(Server Side Request Forgery)

버그를 악용해 공격자가 직접 액세스할 수 없는 서버 영역의 정보를 액세스하거나 조작하는 공격 수단

Last updated